본문 바로가기

코인

SC “비트코인, 트럼프 퇴임 전까지 5배 뛴다”

반응형
반응형

글로벌 투자은행 스탠다드차타드(SC)가 비트코인 초강세론을 주장했다.
5일(현지시간) 비즈니스인사이더에 따르면 SC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퇴임하기 전까지 비트코인 가격이 50만 달러를 돌파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비트코인 가격이 2028년까지 5배 이상 오른다는 의미다. 최근 비트코인은 9만~10만달러 사이에서 등락을 거듭하고 있다. 비트코인은 오전 11시 45분(한국시간) 기준 9만7435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제프 켄드릭 SC 디지털 자산 책임자는 고객에게 서한을 보내면서 “비트코인이 투자 접근성 확대와 변동성 감소라는 두 가지 요인에 힘입어 사상 최고가 행진을 이어갈 것”이라고 했다. 이어 “비트코인이 단기적으로는 높은 가격 변동성을 나타낼 수 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변동성이 점차 완화될 것”이라고 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친암호화폐 정책도 긍정적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이어 켄드릭은 “트럼프 정책으로 투자 접근성이 향상되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지난해 비트코인 현물 ETF가 출시된 이후 지금까지 390억 달러 규모의 자금이 유입된 것을 언급했다. 또 “비트코인이 전통적인 투자자들 사이에서 안전자산으로 자리 잡고 있다”고 했다.

딥시크는 중국에서 개발된 오픈소스 AI 프로젝트인데, 일부 투자자들이 "중국 정부가 비트코인을 규제하거나 새로운 기술로 감시할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를 가졌어.
과거 중국 정부는 암호화폐를 강력히 규제한 적이 있어서, 이런 소식이 시장에 부정적으로 작용했어.
AI 기반 암호화폐 거래 봇의 영향

딥시크 같은 AI 기술이 발전하면서, 일부 기관 투자자들이 AI 기반 트레이딩 봇을 활용해 자동 매도 전략을 실행한 것으로 보임.
대량 매도가 발생하면 시장 심리가 위축되고, 추가 하락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어.
FUD(공포·불확실성·의심) 확산

딥시크 관련 소문이 커지면서 투자자들이 패닉셀(공포 매도)에 나섰고, 비트코인뿐만 아니라 다른 암호화폐 가격도 동반 하락했어.
특히 중국과 관련된 뉴스는 항상 암호화폐 시장에 큰 영향을 미쳐.
결론적으로, 딥시크 자체가 비트코인을 공격한 것은 아니지만, 딥시크 AI와 중국 정부 간의 연관성 루머, AI 트레이딩 봇의 영향, 투자자들의 불안감이 합쳐지면서 비트코인 가격이 하락했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