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 첫 10만 달러 진입을 눈앞에 뒀던 가상화폐 대장주 비트코인이 비교적 큰 폭으로 하락하고 있다.
25일(현지시간) 미 가상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에 따르면 미 동부 시간 이날 오후 4시 42분(서부 시간 1시 42분) 비트코인 1개당 가격은 3.16% 내린 9만3천845달러(1억3천142만원)에 거래됐다.
지난 22일 9만9천800달러대까지 치솟으며 10만 달러선 고지를 눈앞에 뒀지만, 이후 3일째 약세를 보이면서 9만4천 달러선 아래까지 내려왔다.
이스라엘과 헤즈볼라 간의 휴전 협상이 진행 중이라는 긍정적인 소식도 비트코인의 내림세를 막지는 못하고 있다.
미 대선에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당선 이후 쉼 없이 급등세를 이어가면서 피로감이 누적된 데 따른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대선일인 지난 5일 오전 7만 달러선 아래에서 거래되던 비트코인은 지난 10만 달러선에 가장 가까이 갔던 지난 22일까지 약 45% 치솟았다.
이에 당분간 조정기가 이어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투자전문 업체 밀러 타박의 시장 전략가 매트 말리는 "10만 달러 수준을 테스트한 지금 잠시 숨을 고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트레이딩 업체 아르벨로스 마켓 최고경영자(CEO)인 쉴리앙 탕은 "이번 주는 미국 휴일 주간이고, 마이크로스트래티지와 같은 매입자가 없는 상황에서 가격이 현 수준을 유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고 전망했다.
다만, 10만 달러 돌파에 대한 기대감은 여전히 큰 상황이다.
코인 전문매체 코인텔레그래프는 베팅 플랫폼 칼시(Kalshi) 데이터를 인용해 11월 이전에는 비트코인이 연내에 10만 달러에 도달할 가능성이 42%였지만, 지난 23일에는 85%까지 올랐고 여전히 75%에 달한다고 전했다.
같은 시간 시가총액 2위 이더리움은 2.74% 오른 3천429달러를 나타냈고, 최근 급등세를 보였던 리플은 0.91% 내린 1.42달러에 거래됐다.
솔라나는 5.63% 내린 236달러를 나타냈고, 일론 머스크가 띄우는 도지코인도 7.44% 하락한 0.39달러를 기록했다.
마이크로스트래티지, 비트코인 5만5000개 또 샀다
마이크로스트래티지는 미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한 서류에서 "11월18일~24일 비트코인을 총 54억 달러, (개당) 평균 9만7862달러에 매입했다"고 밝혔다.
이 회사는 전환사채와 주식 매도 수익으로 자금을 마련했다고 덧붙였다.
마이크로스트래티지는 2020년부터 비트코인을 사들이고 있다. 특히 이달 초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 당선 후 비트코인이 파죽지세로 오르자 매집을 강화했다. 지난주 5만5000개를 사들이기 한 주 전에도 5만1780개를 개당 평균 8만8500여달러에 매입했다.
이에 따라 24일 현재 마이크로스트래티지는 약 38만6700개의 비트코인을 보유했다. 총 매수 가격은 219억 달러, 개당 평균 가격은 5만6761달러다.
마이크로스트래티지 주가는 연초 대비 515% 이상 상승했으나, 공매도 투자자 시트론리서치가 이 주식에 베팅하지 않겠다고 밝힌 뒤 지난주 주가가 15% 이상 하락했다.
비트코인은 지난 22일 10만 달러에 근접한 9만9400달러까지 올랐으나 이날 큰 폭의 조정을 보이고 있다. 미 동부시간 기준 오후 5시40분 현재 24시간 전 대비 3.8% 빠져 9만3000달러선이 붕괴됐다.
연말 산타랠리 기대되는 美에 韓 증시 동참 ‘주목’
미국 뉴욕 증시가 상승세를 지속하며 연말 랠리 기대감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약세를 면치 못하고 있는 한국 증시가 이에 동참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코스피지수가 다소 반등하며 2500선을 회복했지만 하반기만 보면 여전히 부진한 흐름으로 투자심리 회복도 쉽지 않아 귀추가 주목된다.
2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날인 25일 기준 코스피지수는 2534.34로 4분기 들어 2.27%(58.93포인트·9월30일 종가 2593.27) 하락했다. 하반기 전체를 놓고 보면 9.42%(263.48포인트·6월28일 종가 2797.82)나 떨어진 상태다.
최근 2400선 초반까지 밀렸다가 반등에 성공하며 2500선을 회복한 상태지만 지난 7월 초 2900선을 바라보던 것을 감안하면 아직 갈 길이 멀다.
이같은 흐름은 최근 상승세를 구가하고 있는 미국 증시와 더욱 극적으로 대비되고 있다. 25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 대비 440.06포인트(0.99%) 오른 4만4736.57에 거래를 마쳤다. 4거래일 연속 상승세로 사상 최고치를 다시 경신했다.
대형주 중심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18.03포인트(0.30%) 상승한 5987.37을,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종합지수는 전장보다 51.18포인트(0.27%) 오른 1만9054.84를 각각 기록했다. S&P500지수는 6거래일 연속, 나스닥지수는 3거래일 연속 상승했다.
다우존스지수 기준으로 보면 뉴욕증시는 4분기 들어 5.68%(1966.36포인트·4만2330.15→4만4736.57), 하반기 기준으로 14.36%(5177.65포인트·3만9118.86→4만4736.57) 상승한 상태다.
특히 대장주인 엔비디아가 최근 지지부진한 흐름을 보이고 있는 상황에서도 다우지수는 오름세를 보이면서 삼성전자의 부진과 함께 코스피지수가 약세를 보이고 있는 것과는 확연한 온도 차를 보이고 있다.
엔비디아(136.02달러)가 최근 부진으로 130달러선을 떨어지며 지난 1일(135.40달러) 이후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지만 다우지수는 연일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고 나스닥지수와 S&P500지수도 상승세인 것이다. 이달 초 대선 이후 촉발됐던 랠리가 최근 정체됐다가 다시 힘을 받는 양상으로 연말 산타 랠리에 대한 기대감을 키우고 있다.
이에 국내 증시에 랠리에 동참할 수 있을지가 관심사로 부상하고 있다. 연말반등 랠리가 발생하려면 위축됐던 투심이 회복돼야 하는데 여전히 요원한 상태다. 반도체와 2차전지 등 증시 주도주들의 부진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을 앞두고 향후 증시 불확실성도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에 개미로 일컫어지는 개인 투자자들의 해외 증시로의 이탈이 심화되고 있는 점도 부정적 요인이다. 4분기 국내 증시 일 평균 거래 대금은 16조4678억원으로 3분기(18조2276억원)에 비해 1조8000억원 가량 감소한 상태다.
다만 일각에서는 그동안 국내 증시가 상대적으로 많이 하락한 만큼 연말 다소 반등할 수 있다는 진단도 나온다. 낙폭 과대에 따른 저가 매수세 유입으로 상승할 여력이 있다는 분석이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코스피·코스닥 양 시장 모두 투자심리 위축 심화에 따른 거래 부진이 지수 반등에 제동을 걸고 있는 상황”이라며 “그간 주가 하락으로 인한 기술적인 과매도로 밸류에이션 상 저가 매수 유인이 높아진 구간인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이어 “외국인의 단기 수급 변동성과 원·달러 환율 변화 등에 영향을 받으면서 낙폭과대주를 중심으로 저점을 높여갈 것”이라고 예상했다.
대선 목전에 둔 비트코인, 불확실성에 2%↓
미 대선을 코앞에 두고 불확실성이 고조되면서 비트코인이 2% 이상 하락했다. 비트코인 가격은 전날에도 소폭 하락했는데, 이날 6만7000달러 선까지 붕괴됐다.5일 가상자산 시황 중계 사이트 코인
souw.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