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투자자가 매수·매도 타이밍을 잡는 데 애를 먹는다. 모두가 바닥에 사서 머리에서 팔고자 하지만, 어디가 저점이고 고점인지는 아무도 모르기 때문이다. 많은 전문가가 적립식 투자를 권하는 이유다. 워런 버핏의 스승이자 가치투자 창시자인 벤저민 그레이엄은 그의 책 <현명한 투자자>에서 “정액분할법으로 주식에 장기간 투자하면 십중팔구 은행 금리보다 높은 수익을 안정적으로 올릴 수 있다”고 조언하기도 했다.
적립식 투자는 매달 적금을 붓는 것처럼 일정 주기로 같은 금액을 주식·암호화폐 등의 자산에 꼬박꼬박 투자하는 방식을 가리킨다. 일종의 분할 매입으로 투자 위험을 분산하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특정 자산을 매주 혹은 매달 매입하는 것은 여간 번거로운 일이 아니다. 적립식 투자에 관심이 있다면 은행, 증권사, 암호화폐거래소가 운영하는 관련 서비스를 눈여겨볼 만하다. 투자자는 해당 서비스를 통해 미리 설정한 주기, 금액에 따라 자동으로 적립식 투자를 할 수 있다.
케이뱅크는 NH투자증권과 손잡고 ‘주식 모으기’ 서비스를 지난 19일 출시했다. 고객은 케이뱅크 앱을 통해 NH투자증권에서 거래되는 국내주식, 해외주식, 국내외 상장지수펀드(ETF) 등에 투자할 수 있다. 본인이 투자하려는 종목을 정한 뒤 주기와 금액을 설정하면 된다. 주기는 매일, 매주, 매월 단위로 선택 가능하다. 수량은 온주(1주)부터 소수점으로 정할 수 있다. 해외주식 모으기를 신청하면 거래일에 NH투자증권에서 정한 환율로 자동 환전할 수도 있다.
주식 모으기 서비스의 전통 강자는 토스증권이다. 토스증권의 주식 모으기 서비스는 2022년 3월 출시 후 올해 7월 말까지 누적 156만 명 고객이 이용했다. 누적 거래 건수는 3억 건에 달했다. 토스증권은 지난달부터 주식 모으기 서비스 거래 수수료를 무료화하기도 했다. 토스증권에 따르면 개인투자자는 주식 모으기 서비스를 통해 테슬라, 애플,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 슈와브 미국 배당주 ETF(SCHD) 등에 집중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비트코인 등 암호화폐에 적립식으로 투자하고자 한다면 국내 1위 암호화폐거래소 업비트가 운영하는 ‘코인 모으기’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도 방법이다. 현재 ‘코인 모으기’로 투자가 가능한 암호화폐는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리플 세 종이다. 서비스 이용자는 매일·매주·매월 단위로 정기 자동주문을 만들 수 있다. 투자하려는 암호화폐와 시점, 금액을 정하면 자동으로 적립식 투자가 이뤄진다. 예를 들어 ‘매달 25일, 12시~12시 5분 사이에, 10만원씩, 비트코인을 사겠다’고 설정하면 자동으로 매수가 이뤄진다. 투자 가능 시간대가 5분 단위로 나뉜 것이 특징이다.
한달새 70% 뛴 수이(SUI), 레이어1 프로젝트 솔라나 대항마로 주목
가상자산 수이(SUI)가 레이어1 프로젝트에서 솔라나의 대항마로 주목받으면서 한달새 70% 가까이 상승했다.
22일 가상자산 플랫폼 코인마켓 캡에 따르면 수이는 전주보다 35.13%, 전달보다 69.75% 오른 1.46달러에 거래 중이다.
이는 한달새 시가총액 상위 50개 가상자산 중 가장 많이 오른 수치다. 또 주단위 상승세도 비텐서와 팬텀에 이은 세 번째이다. 가상자산 대장주인 비트코인은 한달새 4.00%, 일주일새 4.96% 오른 6만3115.55달러에 거래 중이다.
레이어1 프로젝트에서 기술성을 인정받으며 수이의 상승세가 나타난 것으로 풀이된다. 가상자산 리서치 업체 K33리서치는 “솔라나가 이더리움에 이어 레이어1 프로젝트로 주목받았지만, 수이가 시장을 선도하는 레이어1 프로젝트 기술을 보유하고 있고, 최근 수이 가격이 이를 반영하기 시작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수이는 이론적으로 초당 29만7000건의 트랜잭션(TPS)을 처리할 수 있다”며 “레이어1 프로젝트 기술에 힘입어 수이의 상승세가 지속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는 솔라나의 초당 6만5000건을 크게 웃도는 수치다.
이와 함께, 파트너십을 비롯한 수이의 행보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수이 개발사인 미스틴랩스(Mysten Labs)는 최근 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 USDC 발행사 서클과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이들은 수이 기반 USDC를 발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추가 물량이 유통되면서 가격이 급락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시장에 풀린 수이의 유통량은 전체 물량의 27% 수준이다. 나머지 물량이 수개월 내에 시장에 풀리고, 가격 하락 압력이 작용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