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이 하락세를 보이고 있지만 전 세계 증시 상장 기업의 비트코인 보유 규모는 1년 사이 200%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비트코인 흐름 추적 플랫폼 비트코인트레져리 데이터에 따르면 현재까지 공개된 비트코인 보유 상장 기업은 총 33만3291 BTC(197억 달러 상당·26조원)를 보유하고 있다. 1년 전 72억 달러에 비해 173.6% 증가한 수치다.
비트코인트레저리 데이터에서 비트코인 상위 보유 기업 52곳 중 비트코인을 1000개 이상 보유한 기업은 총 21곳이었다. 특히 보유량 1위인 마이크로스트레티지는 비트코인 22만6500개(약 18조원·발행량 1.08% 상당)를 보유 중이다. 마이클 세일러 마이크로스트래티지 설립자는 비트코인을 지속 매입하는 이른바 비트코인 맥시멀리스트(Bitcoin Maximalist)로 알려졌다. 넥슨 일본법인은 지난 2021년 4월 1717개의 비트코인을 평균 5만8226 달러(당시 약 6597만원)에 사들였다.
기관들의 비트코인 직접 보유 외에도 비트코인 현물 상장지수펀드(ETF)를 통한 간접 보유도 늘고 있다. 가상자산 자산운용사 비트와이즈는 보고서를 통해 "비트코인이 올 2분기 들어 12% 하락했으나, 기관 투자자들은 비트코인 현물 ETF를 지속적으로 매입했다"며 "2분기 비트코인 현물 ETF를 보유하고 있다고 밝힌 기관 투자자는 1100곳으로, 1분기 965곳에서 약 14% 늘어난 수치"라고 분석했다.
이어 "비트코인 현물 ETF 운용자산(AUM)에서 기관 투자자들이 차지하는 비율은 전분기 18.74%에서 2분기에는 21.15%로 늘었다. 이들 기관이 보유한 비트코인 현물 ETF는 약 110억 달러 규모"라고 덧붙였다.
이에 미국 ETF 전문 업체 'ETF스토어'의 최고경영자(CEO) 네이트 제라시(Nate Geraci)는 "기관의 비트코인 현물 ETF 채택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는 점은 분명하다"며 "일반적으로 기관 투자자는 매우 엄격한 실사 절차를 거쳐 투자 채택까지 오랜 시간이 소요된다고 분석하지만, 기관 투자자의 비트코인 현물 ETF 채택 속도는 놀랍다"고 말했다.
기관들이 비트코인 보유량을 늘리고 있는 것은 장기적인 관점에서다. 비트코인이 달러를 비롯한 법정화폐 가치 하락에 대비할 수 있다는 것이다. 브래드 벡텔(Brad Bechtel) 미국 투자은행 제프리스 외환 책임자는 비트코인이 신고점에 도달했던 지난 4월 "금 상승 요인 중 하나는 법정화폐 가치 하락 우려였고, 비트코인도 같은 길을 가고 있다"고 말했다.
비트코인을 장기간 보유하는 추세도 늘고 있다. 온체인데이터 분석 업체 크립토퀀트는 "지난 한달간 장기 보유자의 비트코인 보유량은 26만2000 BTC로 증가했다"며 "이들은 현재 1482만 BTC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총 공급량의 75%를 차지한다"고 전했다.
바이낸스·바이비트·비트겟, 솔라나 LST 토큰 출시 예정
해외 암호화폐 거래소 바이낸스, 바이비트, 비트겟 3사가 각각 독자적인 솔라나의 리퀴드 스테이킹 토큰(LST)를 발행할 예정이다.
30일 블록체인 매체 코인포스트에 따르면 새로운 토큰은 BNSOL, bbSOL, BGSOL이다. 3사는 아직 솔라나의 LST에 대한 세부 정보를 제공하지 않았다.
생텀(Sanctum)이 솔라나 LST의 대부분을 관리하고 있기 때문에 이 세 거래소는 생텀 플랫폼을 사용해 LST를 발행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로 인해 생텀의 거버넌스 CLOUD 토큰은 일시적으로 47% 급등했다.
리퀴드 스테이킹 토큰은 사용자가 자산을 예치하고 스테이킹 보상을 받으며 유동성을 유지하면서 대체 자산을 받을 수 있는 솔루션을 말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자산을 다른 곳에 투자하고 재정적 이익을 창출할 수 있다. 솔라나에서는 이미 MSOL, JITOSOL, JUPSOL 등이 유통되고 있어 솔라나의 유동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반등 언제쯤"…비트코인, 재료 부재에 8000만원대 횡보
같은 시각 업비트에서는 0.12% 상승한 8069만원에 거래됐다. 가상자산 시황 중계 사이트 코인마켓캡에서는 24시간 전보다 0.43% 오른 5만9336달러를 나타냈다.
이더리움도 횡보 중이다. 같은 시각 이더리움은 빗썸에서 1.35% 빠진 343만원을, 업비트에서는 0.12% 떨어진 343만원을 기록했다. 코인마켓캡에서는 0.16% 밀린 2525달러에 거래됐다.
이더리움은 비트코인을 제외한 나머지 대체 가상자산인 알트코인(얼터너티브 코인)이다. 시가총액은 비트코인에 이어 두 번째로 크다.
김치프리미엄은 2%대를 기록했다. 김치프리미엄은 비트코인의 국내외 가격 차이를 뜻한다. 글로벌 가상자산 시황 비교 플랫폼 크라이프라이스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10분 기준 비트코인 김치프리미엄은 2.01%다.
이 가운데 최근 중앙화 거래소(CEX)의 비트코인 보유량이 올해 최저치를 기록했다. 매도 압력이 감소했음을 시사한다.
크립토퀀트 기고자 gaah_im은 이날 보고서를 통해 "거래소 보유량이 적어지면 즉각적 매도가 불가능하다. 이는 가격 하방 압력의 감소를 의미한다"며 "이같은 추세가 지속될 경우 강세장에 더 유리한 상황이 이어질 수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거래소 보유량 감소는 가상자산을 셀프 커스터디(수탁)로 보관하는 최근 트렌드와도 관련이 있다"며 "콜드월렛에 비트코인을 보관한다는 것은 향후 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본다는 방증이다. 장기 보유자의 시장 지배력이 커져 시장 탄력성이 제고되고, 대규모 패닉셀에 대한 대응도 가능해진다"고 덧붙였다.
한편 글로벌 가상자산 데이터 조사 업체 얼터너티브(Alternative)에서 집계하는 '공포·탐욕 지수'는 이날 34점을 기록하며 '공포(Fear)' 수준을 나타냈다. 전날(29·공포)보다 올라간 수치다. 해당 지수는 0에 가까울수록 극단적 공포를, 100에 가까울수록 극단적 낙관을 각각 의미한다.